거꾸로 된 나라: 팔복에 대한 8일 연구보기

The Upside Down Kingdom: An 8 Day Study Through the Beatitudes

8 중 1 일째

부자로 만드는 가난

마음이 가난한 사람은 복이 있다. 하늘 나라가 그들의 것이다. 마태복음 5장 3절(새번역)

시작하면서

마이트 베트론(Mike Vetrone)은 헤로인에 중독된 마약 밀수범이었습니다. 철저한 외로움 속에 계속되는 살해 협박에 시달렸고 도망치는 데 지쳐 모든 것을 끝내자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어느 흐린 날 아침, 플로리다 남부에서 자신이 가장 즐겨 찾는 장소인 베이글 가게 빅 애플 베이글에 들러 마지막 식사를 샀습니다. 아파트로 돌아와서 함께할 사람을 찾기 위해 TV를 틀었습니다. 한 채널에서 설교자가 외치고 있었습니다. “인생은 당신의 멱살을 잡아 강제로 무릎을 꿇게 만듭니다.”

마이크는 TV 볼륨을 높였습니다.

”모든 영혼을 얽어매는 사슬이 있습니다,” 그 설교자는 계속해서 말했습니다. “그리고 그 사슬은 죄악입니다. 예수님의 죽음과 부활로 우리가 해방된 중독입니다.” TV 속 전도사가 시청자들에게 그리스도를 영접하라고 초대했을 때 마이크는 갑자기 TV를 향해 소리치는 자신을 발견했습니다. “네, 그러겠습니다!” 그 순간, 그는 더 이상 혼자라고 느끼지 않았습니다.

마이크는 삶의 마지막이 아닌 새로운 시작을 마주하고 있었습니다.

묵상 이해하기

영적 가난을 느낄 때, 우리는 왕의 부요함을 받을 준비가 된 것입니다. 하나님 나라는 소유한 자들을 위한 것이 아니라, 상한 자들, 즉 자신의 바닥까지 내려가 빈 손으로 하나님께 나아가는 자들을 위한 것입니다.

고찰하기

“하늘 나라”라는 단어는 마태복음 전반에 걸쳐 등장하며 일반적으로 “하나님 나라”와 동의어입니다. 하늘 나라는 하나님과의 교제 속에 실현되는 참되고, 평화롭고, 순결하고, 기쁜 삶을 말합니다. 그와 같은 축복은 안락함, 성공, 민족 의식이라는 우상과 맞서며 훨씬 더 위대한 것을 약속합니다. 우상은 하나님 나라가 만족스러운 현실이라는 것을 불경하고 뒤틀린 방식으로 패러디한 것에 불과합니다. 그래서 예수님은 하나님 나라를 언급하여 팔복을 설명하십니다. “마음이 가난한 사람은 복이 있다. 하늘 나라가 그들의 것이다.”(마태복음 5장 3절 새번역; 비교. 5장 10절)

예수님께서 하늘 나라를 “그들의 것”이라고 말씀하신 것에 주목하세요. 문장의 서두에 이 단어를 넣음으로써 하늘 나라가 심령이 가난하며 소외되고 잊혀진 자들이라는 구체적 집단을 위한 장소임을 의미합니다. 삶이 만족스럽고 끊임없이 통제하는 자들을 위한 곳이 아닙니다. 자기 자신을 믿으며 타고난 능력으로 승리하는 자들을 위한 곳도 아닙니다. 독일 종교개혁자 마틴 루터가 임종 때 이렇게 선포했습니다. “우리는 모두 거지다. 이것이 진실이다.”

실천하기

예수님과 동시대를 산 수 많은 사람들은 여호수아나 다윗 같은 구원자, 로마군을 멸하고 이 땅에 나라를 세울 군사령관을 기대했습니다. 그러나 예수님은 정치적 대적의 편에 선 반역자 집단인 세리의 친구로 알려지게 되었습니다.

구세주를 본받음에 따라 우리는 늘 자신을 변호하거나 최종 결정권을 가지지 않아도 됩니다. 심령이 가난한 그리스도인들은 비방과 오해를 받으며 살지도 모릅니다. 우리는 헤롯 안디바 앞의 예수님처럼 침묵할 수 있습니다. 사회적 혹은 정치적 문제에 대해 우리와 다른 견해를 가지는 우리의 “적”을 비난하고 싶은 유혹이 들 때 이러한 가난이 필요합니다.

논쟁하려는 사람들 사이에 있을 때도 어떻게 심령의 가난함을 실천할 수 있을까요?

2

묵상 소개

The Upside Down Kingdom: An 8 Day Study Through the Beatitudes

팔복 (마태복음 5장 2-12절)에서 예수님은 우리에게 세상의 기준을 따르지 말고 예수님 안에 뿌리 내린 새로운 정체성을 갖고 세상과 다르게 살라고 말씀하십니다. 이 묵상 계획은 본능을 거스르는 지혜에 대해 알아보고 현재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탐구합니다.

More

이 묵상 계획을 제공해 주신 영어 표준 성경 출판사 겸 기독교 사역 단체 크로스웨이(Crossway)에 감사드립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웹사이트를 방문하세요. https://www.crossway.org/